본문 바로가기

공부/정보처리기사

[정보처리기사-실기] 통합구현(1)

연게 데이터 구성

1. 연계 요구사항 분석

(1) 연계 요구사항 분석 기법

분석 기법: 인터뷰 / 체크리스트 / 설문지 / 델파이 기법 / 브레인스토밍

분석 참고 문서: 코드 정의서 / 테이블 정의서 / 응용 프로그램 구성도 / 시스템 구성도

 - 개체 정의서: 개념 모델링 단계에서 도출한 개체의 타입과 관련 속성, 식별자 등의 정보를 개괄적으로 명세화한 정의서

 - 테이블 정의서: 논리, 물리 모델링 과정에서 작성하는 설계 산출물로 테이블을 구성하는 컬럼들의 특성, 인덱스, 업무 규칙을 문서화한 것

 - 인터페이스(연계) 명세서: 인터페이스 정의서에 작성한 ID뱔로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 항목을 상세하게 작성

 (인터페이스ID, 최대 처리 횟수, 데이터 크기, 시스템 정보, 데이터 정보)

 

(2) 연계 시스템 구성

송신 시스템 / 수신 시스템 / 중계 시스템

 

2.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

(1) 연계 데이터 범위 검토사항

송신부 수신부 검토사항
String Number 한 가지의 데이터 타입으로 정의 및 적용(일반적으로 수신 시스템 기준으로 적용)
Number String
Date String
String Date
Not Null Null 송신 시스템에 입력된 값 그대로 연계
Null Not Null 연계 불가
송신 데이터 크기 > 수신 데이터 크기 연계 불가,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크기로 줄였을 경우는 가능
송신 데이터 크기 < 수신 데이터 크기 수신 시스템의 데이터 크기로 변환하여 연계

 

(2)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데이터 표준

인터페이스 데이터 공통부 / 인터페이스 데이터 개별부 / 인터페이스 데이터 종료부